본문 바로가기

PM Bootcamp

[Week 7] 네이티브, 모바일 웹, 웹, 하이브리드 앱의 장단점 비교

 

 

출처  https://owlab.group/

 

앱의 종류에는 대표적으로 네이티브, 모바일 웹, 웹앱, 하이브리드 앱 4가지를 구분할 수 있는데, 형태별 앱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한다. 

 

 

 

 

 

Native App

네이티브 앱이란,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언어로 개발된 앱을 말한다. 안드로이드, IOS 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 유저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장점 >>

Android, iOS 기반의 API로 개발하여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다.

스마트폰 하드웨어 기능(GPS, 카메라, 블루투스 기능 등)을 사용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다. 

 

단점>>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네이티브 언어로 개발(안드로이드: java, IOS: Object-C ) 안드로이드, IOS 운영체제별 버전을 따로 제작해야 한다.

PC로는 접속이 불가능, 개발 자체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안드로이드, IOS 앱 스토어를 통해 업데이트를 진행해야하고 심사요청 승인 절차가 있어 번거롭다.

하이브리드 앱과 비교하여 용량이 크다.

 

e.g >>

유튜브,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Mobile Web App & Web App

모바일 웹: 웹이지만 모바일 화면에 맞게 구성한 웹으로 용자 스마트폰에 설치되어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URL을 통해 접속한다. 

 

웹 앱 : 모바일 웹과 근본적인 차이는 없지만 겉모습과 구동방식을 '앱인 것 처럼' 보이게 꾸며 놓은 것을 말한다. 모바일 웹보다는 조금 더 모바일에 최적화되었으며, 웹앱도 모바일 웹처럼 일반적인 웹 기술로 개발되고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실행되지만 풀 브라우징 방식이 아닌 단일 페이지 방식으로 화면을 전화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화면 자동 리사이징 여부에 따라 반응형, 적응형 웹앱으로 구분된다.

 

장점 >>

웹에서 사용하는 언어(HTML, CSS, JS, PHP 등)로 개발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든다.

운영체제 구분 없이 인터넷 브라우저만 있으면 접속 가능하다.

 

 

단점 >>

사용자가 URL이나 검색을 통해 접속해야 한다.

스마트폰 하드웨어 기능(푸시 알림, 카메라, 마이크 등)을 활용할 수 없다.

인터넷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접속 장애가 생길 수 있다.

브라우저 기반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네이티브 앱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Hybrid App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 앱의 장점을 결합한 앱. 외부 형태는 네이티브 앱이면서 실제 내부는 모바일 웹 앱으로 실행한다.

 

 

장점 >>

네이티브 앱처럼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소스로 운영체제에 맞게 포장이 가능하며 개발 비용이 적게 든다. 

안드로이드, 앱스토어 등록이 가능, 배포 후에도 웹에 연결되어 있다면 수정 및 보완이 가능하다.

 

단점>>

네이티브 앱처럼 사용자가 다운로드 설치 후 사용해야 한다. 

네이티브 앱 보다 동적인 요소의 구현이 제한적이다. 

하이브리드 앱 제작을 위해서 별도의 하이브리드 앱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환경과 웹사이트 용량에 따라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e.g >>

크롬, 네이버, 다음 등

 

 

 

 

 

 

 


참고 URL:

 

 

What Are the Different Types of Mobile Apps? | CleverTap

How do you choose which type of mobile app you should develop for your company? Should you go with native, web, or hybrid? Find out the pros and cons of each.

cleverta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