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Bootcamp 썸네일형 리스트형 [Week 3] Case study - 당근 마켓 당근마켓이 만들어야 할 초기 제품 핵심 기능은 무엇인가? 동네 지역 기반 중고 거래 장터를 활성화를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초기 제품 핵심 기능은 중고 거래를 위한 기본 기능일 것이다. 초기 제품 핵심 기능으로 아래 세 가지를 꼽아 보았다. 중고 매물을 장터에 올리는 기능 (사진/글) : 중고 거래를 위해서는 당연 '중고 매물'이 꾸준히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중고 물건을 팔고자 하는 판매자를 위한 게시글 기능이 기본적으로 있어야 한다. 중고거래 매물 보여주기 : 업데이트된 중고거래 매물을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나열하는 것도 구매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거래를 위한 채팅 기능 : 판매자와 구매자의 원만하고 신속한 거래를 위한 채팅 기능이 꼭 필요하다. 개인 기본 .. 더보기 [Week 3] Case study - WATCHA 왓챠가 해결하려는 문제는 무엇일까? 콘텐츠 범람의 시대. 나역시도 넷플릭스 증후군(볼 것은 넘쳐나는데, 뭘 봐야할지 모르겠어서 검색에 지쳐 잠이 드는..)에 종종 시달리고 있는 넷플릭스 유저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왓챠' 유저가 아니었던 이유는 '왓챠' 서비스에 대하여 잘 모르기도 했었고 무엇보다 '방대한 컨텐츠' 였다. 그래서 케이스 스터디를 시작하며 본 질문을 마주하며 당연히 '넷플릭스'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왓챠'를 검색해보고 분석해보면서 내가 틀렸다는 것을 알았다. "구글의 목표는 세계 최고의 검색 엔진이 되는 것이었죠. 우리(왓챠)는 개인을 잘 아는, 세계 최고의 '개인화' 엔진이 되는 것을 꿈꾸고 있습니다." by 왓챠 박태훈 대표 두 대표의 인터뷰들을 통해 왓.. 더보기 [Week 2] 고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원하는 니즈, 해결책 등을 찾는 방법은? 모든 고객을 이해하고 만족시키는 것은 어렵다. 고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어떻게 해결되길 원할까? 회사는 그리고 PM으로서 이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까? 내가 고객이 되어, 고객의 입장으로 생각해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계가 있다. 심플하게 고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원하는 니즈, 해결책은 고객에게 직접 듣는 것이 제일 정확하지 않을까. 고객의 문제점 니즈 찾기 '고객의 문제'는 무엇일까? 먼저 구글링을 해보니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문제의 단어와는 조금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가 일상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때는 불편함을 직접적으로 느낄 때이다. 이미 불편함에 익숙해 지거나, 당연시하고 있는 부분은 문제로 인식하기 어려울 것.. 더보기 [Week 2]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고객'이 왜 중요한가? 신제품/서비스를 출시했는데 잘 안 팔린다. "홍보, 마케팅 전략을 강화해야겠는데요?" 마케터로서 윗분들에게 자주 들었던 단골 멘트 중 하나였다. 물론 강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때도 있고, 실제로 공격적인 마케팅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일시적일 뿐 장기적으로 효과를 못 볼 때가 많았다. 본질적인 문제는 제품, 서비스 자체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고객이 만족스러운' 서비스가 아니었던 것이다. 왜 많은 회사의 제품 사업 프로젝트들이 실패하거나 성공에 못 미치는 그저 그런 프로젝트가 될까? 미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업과 제품 프로젝트들이 실패한 큰 이유는 '시장 니즈 없음' 이었다. 기대했던 고객의 니즈가 애초부터 없었거나, 매우 작았거나, 해당 제품/서비스가 고객의 니즈를 제대로 해결해.. 더보기 [Week 2] 다양한 직무의 사람들과 일해본 경험 그리고 어려웠던 점 그동안 홍보, 마케팅 업무를 경험하며 꽤 다양한 직무의 사람들과 업무를 해왔던 것 같다. 많은 업무량 및 환경적인 여건으로 인한 어려움도 많았지만 무엇보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일은 연차수가 늘어나도 항상 어렵게만 느껴진다. 그중 가장 최근이자 어려웠던 프로젝트를 이야기해보고 싶다. 영국 BM 시절 새로운 브랜드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맡았을 때 일이다. 담당 업무는 한국 고객을 위한 반응형 웹페이지를 새로 구축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을 총괄하는 일이었다. 회사 임원진 각 팀의 요구사항을 수렴과 동시 아웃 소싱 팀(웹 기획, 디자인 퍼블리셔, 개발자)에 전달하고 진행상황 등을 모두 파악해야 했다. 굵직하게 이 프로젝트에서 어려웠던 3가지를 열거해보자면, 업무 환경적인 어려움 -.. 더보기 [Week 2] 포지셔닝(Positioning)이란? 포지셔닝(Positioning)이란? '포지셔닝'은 미국의 마케팅 전문가 잭 트라우트(Jack Trout)와 알 리스(Al Ries)가 발간한 논문 에서 시작되어 널리 알려진 용어이다. 비단 브랜딩과 마케팅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경영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잭 트라우트와 알 리스가 정의하는 '포지셔닝'은 단지 넘치는 정보의 시대에서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만이 아니라 이미 소비자 마음속에 들어 있는 내용을 조작하고 기존 연결 고리를 다시 엮어 소비자 마음 또는 인식에 가장 먼저 자리를 잡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한번 정한 포지션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의미의 포지셔닝이라 주장한다. 이 밖에도 여러 학자들이 정의하는 포지셔닝은 아래와 같다. 그린과 툴 Gr.. 더보기 [Week 2] Business strategy vs Product strategy? 전략이란? 먼저, 회사의 전략과 프로덕트 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기 전에 '전략(Strategy)의 정의'에 대해서 찾아보았다. Strategy is an action that managers take to attain one or more of the organization’s goals. Strategy can also be defined as “A general direction set for the company and its various components to achieve a desired state in the future. Strategy results from the detailed strategic planning process”. 전략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취하는 행동(act.. 더보기 [Week 1] 프로덕트 분석 - 당근마켓 TMI >> 티스토리 블로그가 익숙하지 않아 먼저 작성했던 글을 수정하려다 삭제해 날려버리는 똥 멍청이 짓을 하고 말았다. 첫 숙제부터 마무리 못해 기분이라 찝찝했다고 조큼 억울했다고 포스팅 늦은 자의 소심한 변명입니다 - 케빈 그리고 동기 여러분 들어가며 좋아하는 프로덕트가 마땅하게 똭! 떠오르지 않아 요 근래 나의 '빵 값' 지분에 큰 몫 자리하고 계신 '중고거래' 앱 서비스 '당근 마켓'을 분석해보기로 한다. 이 포스팅을 쓰기 전에도 당근 거래로 빈티지 울 재킷을 팔고 왔다. 야 - 호 배경 사실, 나는 국내 중고거래 서비스를 '제대로' '즐겨' 이용해 본 경험이 없었다. 대학시절 네이버 중고나라에서 필름카메라를 구매한 적이 있었는데 '빛 좋은 개살구'였다. 너무 실망스러워 그 이후로는 중고거래는 ..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